웹 텔레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 텔레비전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재생하기 위해 다양한 코덱, 스트리밍 프로토콜, 전송 프로토콜, 피드 기술 등을 활용한다. 코덱으로는 디랙 등이 사용되며, 스트리밍 프로토콜로는 RTSP, RTMP 등이, 전송 프로토콜로는 HTTP가 주로 사용된다. RSS 인클로저는 팟캐스트 성장에 기여했으며, SMIL, WTVML 등의 기술도 웹 TV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도입 - 상근예비역
상근예비역은 방위병 제도 폐지 후 도입되어 현역병 입영 대상자 중 선발, 집에서 출퇴근하며 군 복무하는 병역의 한 종류로, 주로 육군 소속으로 복무하며 복무 기간은 육군 현역병과 동일하다. - 1995년 도입 - 버추얼 보이
버추얼 보이는 닌텐도에서 1995년에 출시한 3D 그래픽 구현을 목표로 개발된 휴대용 게임기이며, 듀얼 십자키를 특징으로 하지만, 상업적으로는 실패했다. - 뉴미디어 - 주류 미디어
주류 미디어는 영화, 텔레비전, 신문, 라디오 등 전통적인 매체를 지칭하며, 미디어 소유권 집중과 디지털 플랫폼 부상으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젊은 세대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 뉴미디어 - 웹 시리즈
웹 시리즈는 인터넷을 통해 상영되는 에피소드 형식 콘텐츠로, 웹 기반으로 제작되어 웹 예능, 웹 소설, 웹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독립 제작자에서 주류 미디어로 제작 주체가 확대되며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 디지털 미디어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디지털 미디어 - 온라인 언론
온라인 언론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시민 저널리즘 부상, 정보 전달 속도 혁신 등의 특징을 보이지만 정보 신뢰성 문제, 전통 언론 쇠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웹 텔레비전 | |
---|---|
웹 텔레비전 | |
유형 | 인터넷 텔레비전 |
설명 |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시청할 수 있는 텔레비전 콘텐츠 |
다른 명칭 | |
영어 | Web television, Online television, Internet television |
한국어 | 인터넷 텔레비전, 온라인 텔레비전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웹 시리즈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 OTT 서비스 인터넷 방송 IPTV |
2. 멀티미디어 기술
웹 텔레비전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 전송하고,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배포하고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처리 및 전송 기술을 활용한다.
웹 텔레비전은 Dirac, HTTP, RSS, RSS 인클로저, RTSP, SMIL, WTVML, RTMP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
2. 1. 코덱
웹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압축, 복원을 위한 코덱 기술은 다음과 같다.2. 2. 스트리밍 프로토콜
HTTP, RTSP, RTMP2. 3. 전송 프로토콜
웹 텔레비전의 데이터 전송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HTTP: 웹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RSS: 블로그나 뉴스 사이트 등에서 콘텐츠를 배포하는 데 사용된다.
- RSS 인클로저: RSS 피드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하는 기술이다.
- RTSP: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 RTMP: 어도비 플래시 기반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 SMIL: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시간적, 공간적 구성을 정의하는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이다.
- WTVML: 웹 텔레비전 콘텐츠를 기술하는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이다.
- Dirac: BBC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비디오 코덱이다.
이 프로토콜들은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며, 웹 텔레비전 서비스 종류와 목적에 따라 적절한 프로토콜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2. 4. 피드 기술
웹 텔레비전 콘텐츠 배포 및 구독을 위해 사용되는 피드 기술은 다음과 같다.- '''RSS''': 블로그나 뉴스 사이트 등 자주 업데이트되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쉽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RSS 피드를 구독하면 해당 웹사이트의 최신 콘텐츠를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다.
- '''RSS 인클로저''': RSS 피드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하는 기능이다. 팟캐스트와 같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RSS 피드를 통해 배포할 수 있다.
- '''HTTP''': 웹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웹 텔레비전 콘텐츠는 대부분 HTTP를 통해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된다.
- '''RTSP''': 실시간 스트리밍 미디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재생, 일시 정지, 빨리 감기 등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 '''RTMP''': 어도비 플래시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이다. 낮은 지연 시간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라이브 스트리밍에 적합하다.
- '''SMIL''':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XML 기반 마크업 언어이다.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 요소를 시간 순서에 따라 동기화하여 재생할 수 있다.
- '''Dirac''': BBC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비디오 코덱이다. 고화질 비디오를 효율적으로 압축하여 웹 텔레비전 콘텐츠의 전송 속도를 높이고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 '''WTVML''': 웹 텔레비전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XML 기반 마크업 언어이다. 프로그램 제목, 설명, 출연진, 장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 기술들은 한국 사용자들이 다양한 웹 텔레비전 콘텐츠를 편리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RSS와 RSS 인클로저를 이용한 팟캐스트 구독, HTTP를 통한 VOD 스트리밍, RTMP를 이용한 실시간 방송 시청 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3. 기타 관련 기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